전 포스팅에서는 adb shell이 실행되는 거 까지 해보았다. 이번엔 안드로이드에 플레이스토어를 깔고 가상머신 세팅해 볼것이다.
.먼저 저번에 세팅한 디바이스와 좀 다를 것이다. 필자는 4.1.1 버전을 통해 해볼 것이다.
그리고 ARM Translation Installer 와 안드로이드 마켓을 설치 한다.
ARM Translation Installer는 ARM CPU를 에뮬레이터로 해주기 위한 모듈 이다.

위의 파일을 받고 드래그앤 드롭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안드로이드 마켓을 설치를 위해
위의 링크에 들어가서 가상머신에 맞는 zip파일을 다운 받아서 똑같이 드래그앤 드롭으로 설치를 한다.
설치를 하고 나서 가상머신은 꼭 재부팅 해줘야한다.
gapps-jb-20121011-signed.zip <필자가 설치한 버전>
그러면 Google Play 스토어를 설치 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Superuser, SSHDRoid, busybox free, Google Korean Input을 설치한다.
Supueruser는 이미 있을 수도 있고
Google Korean Input은 한글 입력을 위한 도구
SSHDRoid는 후에 파일전송에 사용
busybox는 adb 명령어를 좀 더 다양하게 쓸 수 있도록 한다.
이제 원래 컴퓨터에서 FileZilla를 설치한다.

https://filezilla-project.org/
이제 SSHDRoid와 파일질라를 통해 파일을 탐색, 옮길 수 있도록 해볼 것이다.
SSHDroid에서 오른쪽 상단에 있는 Start를 눌러서 실행을 시킨다.
그리고 호스트에서 CMD창을 연다.
>adb shell
# netcfg
명령어를 입력하면 위와 같은 결과값을 받을 수 있다.
아까 받은 결과 값중에 Mac값과 비교하여 파일 질라 호스트에 IP를 넣어주고
사용자명 : root
비밀번호 : admin
포트 : 22
설정하여 빠른 연결하면 Success한 것을 볼 수 있다.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rp Suite를 이용한 안드로이드에서 앱 데이터/패킷 캡쳐, 변조 (1) | 2016.09.02 |
---|---|
ddms을 이용한 안드로이드(Android) 앱 메모리 덤프 뜨기 (1) | 2016.08.30 |
안드로이드 앱 정적분석 방법 (1) (0) | 2016.08.24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지니모션을 통한 앱분석 환경 만들기 (1/2) (0) | 2016.08.23 |
자바(Java)를 DEX파일로 컴파일 (0) | 2016.03.07 |
최근댓글